영화 용어 53가지
(1) 개그(gag)
: 이야기의 줄거리와 직접적인 관계 없이 그때 그때 웃음거리를 자아내는 대사나 동작.
(2) 더블 롤(double role)
: 1인 2역, 즉 한 화면 속에 한 인물이 두 역을 하는 것.
(3) 더블 익스포저(double exposure)
: 이중 노출로서, 환상 또는 유령의 출현시에 사용됨.
(4) 더미(dummy)
: 배우 대신 사용되는 인형.
(5) 데뷔(debut)
: 처음 출연하는 것.
(6)다큐멘터리 필름
: 기록영화.
(7) 디졸브(dissolve)
: 한 장면이 점점 사라지면서 거기에 다른 장면이 겹쳐서 나타나는 장면 전환 방법.
(8) 러시 프린트(rush print)
: 촬영 결과를 보기 위해 대강 연결해 놓은 인화 필름.
(9) 레제 시나리오(lese scenario)
: 시나리오의 형식을 빈 새로운 문학형식.
(10) 리플렉터(reflector)
: 야외 촬영용의 태양 반사판.
(11) 로케이션(location)
: 옥외촬영.
(12) 리허설(rehearsal)
: 연습, 시연(試演).
(13) 릴리스(release)
: 영화 개봉.
(14) 스크립트(script)
: 영화의 대본.
(15) 메이크업(make-up)
: 분장.
(16) 메인 타이틀(main title)
: 영화의 최초에 나오는 제명, 또는 서론이나 배역을 소개하는 자막.
(17) 모노드라마(monodrama) : 일인극(一人劇)
.
(18) 서브타이틀(subtitle)
: 설명 자막.
(19) 사운드 트랙(sound track)
: 필름의 음향을 녹음하는 부분.
(20) 사일런트(silent)
: 무성영화.
(21) 서포팅 플레이어(supporting player)
: 조연 배우.
(22) 세컨드(second)
: 제 2, 3 감독을 말함.
(23) 세컨드 론도(second rondo)
: 영화를 재생하는 것.
(24) 세트(set)
: 스테이지 안에 세워진 촬영을 위한 장치.
(25) 센서(censor)
: 검열관.
(26) 소프트 포커스(soft focus)
: 흐릿한 화면.
(27) 샷(shot)
: 화면의 단편. 이것이 모여 장면이 된다.
(28) 슈퍼임포즈(superimpose)
: 필름에 글자를 인화하는 것. 외국 영화 필름에 우리말 회화 자막을 올리는 것.
(29) 슈트(shoot)
: 촬영을 개시하는 일.
(30) 스크린 프로세스(screen process)
: 어떤 장면의 배경을 미리 찍어서 스테이지 안의 영사막에 투사하고
이것을 배경으로 배우의 연기를 촬영하는 기법.
(31) 스틸(still)
: 영화 중의 한 장면을 크게 인화한 선전용의 사진.
(32) 시퀀스(sequence)
: 스토리 전체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있는 얘기의 한 단락으로,
숏이 모여 씬이 되고 씬이 모여 시퀀스가 되고 시퀀스가 모여 한 편의 영화가 된다.
(33) 스크립터(scripter)
: 대본작가.
(34) 스탠드인(stand-in)
: 대역.
(35) 싱크로나이즈(synchronize)
: 동시 녹음.
(36) 어댑테이션(adaptation)
: 각색.
(37) 어레인지먼트(arrangement)
: 윤색.
(38) 아트 디렉터(art director)
: 미술 감독.
(39) 아카데미 어워드(academy award)
: 매년 3월 미국의 영화 예술 과학 아카데미가 영화계 각 부문의 최우수자에게 주는 상.
(40) 애프터 리코딩(after recording)
: 촬영 후 녹음을 따로 하는 것.
(41) 애드 리브(ad-lib)
: 대본에 없는 임기응변의 대사.
(42) 엑스트라(extra)
: 임시 등용 연기자.
(43)엔 지 NG [no good] : 촬영시 못 쓰게 된 필름.
(44) 오리지널(original)
: 영화 촬영을 목적으로 제작된 각본 원작.
(45) 오버랩(over lap)
: 하나의 화면이 희미해지면서 그 위에 겹쳐서 다른 화면이 확실하고 뚜렷해지는 기법.
(46) 오디션(audition)
: 출연자를 테스트하여 뽑는 것.
(47) 오픈 세트(openset)
: 촬영소 안에서의 옥외 촬영 장치.
(48) 와이드 스크린(wide screen)
: 시네라마, 비스터비전 등 대형 스크린의 총칭.
(49) 와이프(wipe)
: 한 화면이 씻기듯 없어지면서 그 부분에 새로운 화면이 나타나는 기법.
(50) 인서트(insert)
: 삽입 장면 화면.
(51) 컷(cut)
: 촬영된 필름의 단편.
(52) 컷백(cut back)
: 다른 두 장면을 상호 교체적으로 편집함으로써 서스펜스를 강조시킨 것. 도망자와 추격자와의 숨막힐 듯한 장면 등.
(53) 컷인(cut-in)
: 한 화면에 다른 화면을 끼어 넣는 것.
'영상제작편집 > 기본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펌]동영상의 모든것 - 인코딩/코덱에 대해 알아봅시다. (0) | 2015.11.29 |
---|---|
거장이 직접 알려주는 명품 사진 9가지 꿀팁 (0) | 2015.04.05 |
동영상 편집 용어 정리 (0) | 2014.01.07 |
간단한 영상편집 용어 (0) | 2014.01.07 |
영상편집 용어- 디지털 영상편집/영상관련 (0) | 2014.01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