간단한 영상편집 용어
비디오 편집용어 정리
● A-B 롤 편집
재생 VTR을 2대이상 준비하여 비디오 테이프끼리 몽타즈 효과를 내는 편집. 디졸브, 와이프,
키이 등에 의해 영상적으로 완성도가 높은 편집이 된다.
● animation 편집
몇 프레임 단위의 편집으로 약간씩 다른 정지화에서 애니메이션 효과를 만들어 내는 편집.
● assemble 모드
비디오 편집은 보통 IN-POINT만 정해 편집에 들어가는 Assemble 모드와, IN, OUT-POINT
양쪽을 다 정해 편집을 완결하는 INSERT 모드로 나뉘어 있다.
Assemble 모드에서는 프로그램 첫머리부터 순차적으로 편집을 하고,INSERT 모드에서는
편집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할 때가 많다.
● audio-only(A-only)
인서트 모드에서 음성만을 삽입하는 편집 모드. sound-only라고도 한다.
● audio-sweetening
음성처리, 효과음이나 음악 등을 첨가해 음성편집을 하는 것.
● auto-assembly
편집 데이터를 축적해 두고 재생 테이프 장전후 그 릴에 관한 편집 이벤트를 자동적으로
차레차례 어셈블해 가는 편집. 오프라인 편집과 결합해서 효율적인 온라인 편집이 된다.
● auto-tag
편집종료때 각 테이프의 OUT 점을 메모리하여 다음 이벤트의 새로운 IN점으로 하는 기능을
tag 기능이라고 하고, 이 기능을 자동화 함으로써 순차편집의 효율화가 기대된다.
● Background/Forground
ket 모드로 편집할 때 베이스가 되는 입력원(入力源)을 백그라운드라고 부르고,
키이로 집어넣는 신호원(信號源)을 포그라운드라고 한다.
● back-space editing
라이브 수록때 수록 정지점에서 테이프는 몇 초동안 리와인드되어 정지하고, 다음 수록개시에서 처음 재생 모드로 되며, 테이프 락크 후 Assemble 모드로 수록에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.
커트 녹화에서도 테이프상의 영상신호는 연속성이 유지되고 리이더가 적어서 좋다.
● both-cut
영상과 음성을 함께 편집하는 event를 말함.
● BVB(Black-Video-Black)
인서트 편집때 인서트하는 영상의 타이밍을 프리뷰 하기 위한 모드로 인서트 부분만 영상을
내보내고 IN, OUT전후는 블랙으로 된다.
● chase 모드
테이프 락크 시스템에서 마스터 테이프에 대해 슬레이브 테이프를 타임코드를 비교하여 항상
추적하고 조상(調相)하여 추종하는 모드를 말한다.
● checker boad모드
auto-assembly에서 편집을 할때 재생 테이프에 따라 수록 테이프의 인터레이스 위치에 편집을
하는 모드인데, 수록 테이프의 첫머리에서 순차적으로 하는 시켄셜 모드보다 효율적인
auto-assembly가 기대된다.
● clean-up
오프라인 편집의 결과 얻은 데이터는 오버레코딩 부분 등을 포함하고 있어서 auto-assembly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. 이러한 부적합한 데이터를 정리하여 무조건
auto-assembly가 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를 clean-up 또는 cleaning 프로그램이라고 한다.
● color framing
2프레임마다 color frame을 손상시키지 않고 편비하는 것.
● cue
타이밍을 가리키는 것으로 편집작업 중에서는 편집점을 말할 때가 많다.
● cue-in/out
편집점의 in/out점을 말하는 것인데, 그 밖에도 여러 가지로 쓰이고 있다.
예컨대 edit-in/out, cut-in/out, entry/exit, ingoing/outgoing등.
● cut
스플라이스 편짐때 쓰던 말인데, 1 편집 단위를 가리킨다. 현재는 cut 대신 event라는 말을 쓸 때가 많아졌다.
● cut-time
1편집단위의 길이(시간), event-time, duration이라는 말을 많이 쓴다.
● cut-in/out
cue-in/out 참조.
● direct-cut
편집점 모드가 cut로 연결되는 것, straight cut라고도 한다.
● dissolve
몽타즈 효과로서 선행하는 영상이 fade-out되면서 동시에 다음 영상이 fade-in 되어 영상이
전환되는 것.
● drop-frame
타임코드를 컬러 동기로 카운트할 때 실제 시간과 어긋나는 것을 보정하기 위해 10으로 나눠지지 않는 정분(正分)마다 00프레임과 01프레임을 drop하는 것으로 계산을 맞춘 모드를 drop-frame 모드(또는 skip 모드)라고 한다. 또 drop 하지 않고 실제시간과의 어긋남을 감안해 쓰는 것을
non-drop-frame 모드라고 한다.
● duration time
cut-time이나 몽타즈 효과에서 그 길이(디졸브나 와이프의 길이).
● edit list
편집 리스트. 손으로 쓰는 것에서부터 프리트 아우트된 하드 카피, CRT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
메뉴 등이 있는데, 편집 데이터 군을 말할 때도 쓴다.
● EDL
edit decision list의 약칭.
● event
1편집단위. 스플라이스 편집때는 'cut'라는 말로 불렀던 것이다. 또 편집구간에서 다른 설비나
스위처에 대해 동작제어를 할 때도 쓴다.
● fade-in/out
편집 몽타즈 효과의 하나인데, fade 효과는 블랙 신호와의 dissolve로 대용할 때도 많다.
● full-frame
drop-frame 모드에 대해 drop되지 않는 non-drop-frame을 full-frame이라고 한다.
● GPI(General Process Interface)
편집장치에서 VTR 이외의 외부설비에 DO(Digital Out-Put)를 내보내 기동제어나 스위처 제어등
을 하기 위해 범용성을 가진 프로세스 인터페이스.
● Iinsert 모드
편집점의 IN, OUT를 정해 영상 또는 음성, 또 양쪽을 삽입하는 편집모드로 assemble 모드와
반대어로 쓰인다.
● learn 모드
스위처의 동작을 프리뷰 할 때 매뉴얼로 조작하고, 이 상태를 메모리했다가 본편집 때 재현하는 모드를 말한다.
● look ahead
auto-assembly 시간단축을 위해 재생 비디오 테이프의 cueing을 선행해서 한다. 즉 사용이 끝 난 VTR은 다음에 사용할 이벤트를 위해 큐잉하는 것.
● mark-in/out
편집점 결정을 위해 비디오 테이프를 재생하여 편집점이라고 생각되는 곳에서 재생중 또는
PAUSE하여 버튼을 눌러 할 때가 많다. 이 버튼은 mark-in/out버튼이라고 한다. 또 이 버튼을 cut-in/out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.
● master-tape
편집때 수록쪽 테이프를 말함. 이 테이프에는 보통 컨트롤 신호, 타임코드가 연속기록되어 있다.
● Moviola효과
'moviola'는 미국에서 만든 필름 편집기의 상품명인데, 필름을 자유롭게 멈추든가 빨리 보내면서 모니터할 수 있어 필름 편집에서는 빼놓을 수 없는 기기이다. 이와 마찬가지로 비디오 편집에서 도 헬리컬 스캔 VTR과 같이 FF, PAUSE에서도 영상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편집작업에서 본질 적인 기능이다. 이처럼 영상을 확인하는 것을 Moviola 효과라고 부르는 것이다. 현재의 기기들에 서는 기본적인 기능이다.
● Non-drop-frame
drop frame 참조.
● off-line editing
본편집을 하기 전에 오리지널 테이프에서 카피된 카세트 비디오 테이프를 사용해 가편집을
하는 것. 가편집의 결과 본편집을 위한 상황판단을 하는 것에서부터 편집 시트를 손으로 작성
하는 것. 또 편집 데이터가 종이 테이프나 플러피 디스크에 수집되는 것까지 다양한 설비가 있다.
● on-line editing
본편집, off-line editing과의 작업과정에 따른 표현법이다.
● on-the-fly
비디오 테이프를 주행중에 편집하는 것. 여러 대의 재생 VTR을 스위칭되도록 편집하는 sync-roll 방식 등 넓은 의미로 쓰이고 있다.
● original-tape
편집용 소재가 되는 테이프, 재생쪽 VTR에 장전된다.
● over-dudding
멀티 트랙 레코더를 써서 악기연주 등의 녹음을 할때 파트마다 따로따로 다른 트랙에 차례로
녹음해 가는 방법. TV 음성편집에서도 이런 기법이 응용되고 있다.
● over-recording
순차 assemble 편집이 계속될 때 다음 event를 editing(recording)하는 것으로 선행 event의 끝 부분에 레코딩되므로 out 점이 수정되게 된다. insert 모드도 일종의 over-recording이다.
● pre-editing
가편집. off-line editing을 말함.
● pre-roll
edit-in점에서 일정시간(길이) 테이프를 되돌리는 것. VTR의 기종이나 편집수법에 따라
pre-roll time은 5초에서 30초까지 다양하다.
● preview
편집점을 결정한 후 편집상황의 확인을 위한 동작. 본편집은 하지 않고 본편집을 한 것과 똑같이 신호를 바꿔 편집점의 결단을 촉구한다. 재생쪽과 수록쪽이 단독으로 편집점이 확인되는 preview 도 있다. 그 결과 재고해야 할 여지가 발견되면 수정한다.
● punch-in/out
음성편집에서 소리의 edit-in/out를 말함. punch-in/out때 erase신호가 들어가고 나가고,
또 bias 신호가 들어가고 나가는 특성 등이 편집점을 바꾸는 것과 함께 클리크 특성에도 영향을
준다.
● random assembly
checker boad 모드의 auto-assembly를 말함.
● rection time
on-the-fly에서 편집점을 정할 때 편집자는 스위칭 동작(mark-in/out버튼을 누르는 등)으로
1박자 느려질 때가 많다. 이 1박자 느려지는 시간을 reaction time이라고 한다.
reaction time에는 개인차가 있다.
● reaction triming
편집장치의 option 기능으로 편집자의 reaction time을 감안해 on-the-fly 모드에서
mark-in/out를 누를 때 set된 reaction time을 뺀 타임코드를 mark-in/out로 하는 것이 있다.
● review
본편집 직후나 직전에 편집한 event 부분을 자동두출하여 편집효과를 최종확인한다.
● ripple
편집 데이터군 속에서 어떤 것 하나라도 수정하면 수정한 event 데이터에서 다음 event 데이터의
마스터 테이프상 edit-in/out점의 타임코드 전부를 차례로 수정할 필요가 생긴다. 이 파급적으로 수정되는 기능을 ripple기능이라고 한다.
● scene
편집하는 event 의 1 또는 연속된 복수 event로서 프로그램 내용의 세그먼트이다.
● set-in/out
편집점을 결정하기 위해 mark-in/out 버튼을 누르는 방법과 사전에 편집점을 알고 있을 때
텐키이 등을 써서 키잉하는 방법이 있다. 이 키잉 하는 것을 set-in/out라고 한다.
● split-edit
영상과 음성을 따로따로 edit-in/out를 결정하고, 1편집 동작으로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. split-edit의 편집점 데이터는 주편집점에서 부편집점이 얼마만큼 off-set되고 있는가의 편차시간 을 가진 것과 주부(主副) 모두 타임코드 타이프로 되어있는 것이 있다.
● SMPTE time and control code
1프레임 80비트의 bi-phase mark 신호로 테이프상의 위치정보와 32비트의 제어정보를 가지고
있다. SMPTE 타임코드 또는 그냥 타임코드라고 할 때가 많다.
● synchronizer
비디오 테이프와 오디오 테이프 등을 타임코드를 기준으로 동기(同期)시킬 때 쓰는 외에, VRT와
여러대의 재생기를 동기시킬 때, 또 음성제작에서 멀티 트랙 레코더를 여러 대 동기시킬 때에도
쓰인다.
● sync-roll
카메라와 직접 연결한 여러대의 VTR에서 동시기록된 테이프를, 타임코드를 기준으로
synchronizer 기능으로 동기시켜 on-the-fly 편집을 하는 기능.
● trace
off-line 편집에서 re-recording을 반복해서 만든 편집 데이터는 on-line편집을 위한 데이터로서 직접 다루지 못한다. 이 최종 off-line 편집에서 편집과정을 trace 하여 on-line을 위한 완성
데이터를 얻는 소프트웨어가 있다. 이것을 trace 프로그램이라고 한다.
● track-down
멀티트랙 레코더의 음성편집 과정에서 복수 트랙의 음성을 믹싱하여 비어있는 트랙에 녹음해
완성음을 만들어 내는 기법.
● tracking edit
편집 데이터군 속에 event time '0'의 더미 event를 두어 몽타즈 효과 event의 첫머리를 찾는
테크닉.
● transfer editing
off-line 편집수법에서 완전한 대본에 따라 편집을 하는 경우 실제로 편집을 하지 않고 오리지널 소재의 edit-in/out점을, event 번호를 지정한 후 차례차례 set 또는 mark해 가, 최종적으로
마스터 쪽으 타임 코드값을 자동할당하면 매우 효율적으로 편집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.
● triming
편집점을 mark 또는 set하고 preview한 결과, 수정하는 것을 triming이라고 하며, in out점을
위해 trim-in/out 기능을 가진 것이 많다.
● VA 연동
영상과 음성을 함께 편집하는 both-cut를 말함. 또 dissolve등의 영상효과 타이밍에 연동해서
음성도 fade-in/out시키는 것에도 쓴다.
출처 : http://blog.daum.net/pinkstorm/1798608
'영상제작편집 > 기본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펌]동영상의 모든것 - 인코딩/코덱에 대해 알아봅시다. (0) | 2015.11.29 |
---|---|
거장이 직접 알려주는 명품 사진 9가지 꿀팁 (0) | 2015.04.05 |
동영상 편집 용어 정리 (0) | 2014.01.07 |
영상편집 용어- 디지털 영상편집/영상관련 (0) | 2014.01.07 |
영화 용어 53가지 (0) | 2014.01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