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  • 그릇
영상제작편집/기본상식

영상편집 용어- 디지털 영상편집/영상관련

by 귀한그릇 2014. 1. 7.

영상편집 용어- 디지털 영상편집/영상관련

 

 

▷ Aliasing; 장치문제로 인한 영상의 찌그러짐 같은 부정확한 화면출력. 

▷ Anti-aliasing; 영상의 찌그러짐 등 aliasing을 매끄럽게하는 방법 

▷ ASF; Active Stream Format의 약자로서 Microsoft사가 제안한 동영상 stream format이며 인터넷방송 등에 많이 쓰임. 

▷ Aspect ratio; 영상의 가로대 세로비. 일반 TV영상은 4:3이고, wide영상은 16:9를 사용함. 

▷ Aux; Auxiliary의 약자로서 보조적인 또는 별도의 入力을 뜻함. 

▷ AV; Audio & Video 또는 Audio-Visual의 약자로 음성과 영상을 합해 부르는 말. 또는 TV나 영화와 같이 영상과 음성이 하나로된 분야를 총칭함. 
* 5.1Audio; 통상 좌우의 2채널 stereo오디오에 대해 총5채널 (좌,우,중앙,뒤쪽좌,우)의 독립적 오디오와 저음부를 담당하는 sub-wooper를 포함하는 sound. 

▷AVI; Audio Video Interleaved의 약자로 MS사가 개발한 비디오 format. 오디오와 비디오 frame이 순차적으로 배열됨. 

▷ Betacam; Sony사가 개발한 아나로그component 신호체계로 1/2인치 테이프를 사용하며, 화질이 좋아 전문적 영상작업과 방송용으로 쓰임. 

▷ Bitmap; 줄로 늘어선 점 또는 pixel의 집합으로 된 영상 format. 

▷ BMP; bitmap file의 확장자명. 

▷ bps; bit per second. 즉, 초당 신호를 몇비트 보내는가하는 디지털신호 전송속도를 나타냄. 앞에 붙는 K, M, G는 1000, 100만, 10억비트를 단위로 표기한 것임. (Kbps, Mbps ---) 

▷ Brightness; 비디오의 밝기. (luminance 라고도 함) 

▷ CCD(Charge Coupled Device)카메라; CCD(전하결합소자)를 전송소자로한 고체촬상소자를 사용한 카메라. 소형, 경량화가 가능하고 해상도는 畵素수에 의해 결정됨. 단판식, 2판식, 3판식이 있는데 방송용은 모두 3판식이며 최근에는 VX-2000, PD150, XL-1등 캠코더에도 3판식이 장착됨. 

▷ Chroma; 색상과 채도를 포함한 색채의 질 (흑백에는 없음) 

▷ Chrominance; 색 (color) 

▷ CODEC; COmpressor(압축기)와 DECompressor의 약자로서 디지털로 영상을 기록하거나 저장, 전송할 경우 많은 data량을 압축하는 방식을 말함. 
* NTSC-TV의 경우 흑백그림 한 장은 640×480byte, color가 들어가면 그의 3배(×3), 동영상은 1초당 frame수배(×30)등으로 많아짐.
* 압축방법으로는 1) SW codec과 HW codec, 2) 공간압축과 시간압축, 3) 손실압축과 비손실압축, 4) 대칭압축과 비대칭압축이 있으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함. 

▷ Color depth; 개개 pixel의 색정보 비트수. 
흑백은 1비트 color depth, 2의1승=2 colors, 
8비트 color depth는 2의 8승=256 colors 
24비트 cplor depth는 2의 24승=16,777,216 colors. 

▷ Color saturation; 채도 (색의 강도) 

▷ Component단자(신호); 영상을 색성분별 (R, G, B 또는 휘도 Y와 2개의 색차신호 R-Y, B-Y)로 처리하는 단자(신호)로 휘도나 색신호의 혼입이 생기지 않음. 방송용기기는 대부분 component처리하며 Betacam이 대표적임. 

▷ Composite단자(신호); 사람이 눈으로 보고 느끼는 3가지 요소 (明度, 彩度, 色相)를 한개의 전송로로 처리하는 단자 (하나로 혼합된 신호). 방송의 전송에 사용하며 가정용 VHS도 이를 사용함. 

▷ Compression(압축); 디지털 data의 중복부분을 줄여 전체정보량을 축소하므로써 저장과 처리에 공간을 절약하는 기법. 여러 가지 방법과 종류가 있음. 

▷ Contrast; 피사체 또는 영상의 가장 밝은 부분과 가장 어두운 부분과의 휘도비율. 또는 화면내의 색채등의 대비. 

▷ Converter(변환기); 신호를 바꾸어주는 장치. UHF를 VHF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기, PAL방식을 NTSC로 바꾸는 변환기, 디지털을 아나로그로 바꾸는 D/A, 그 반대인 A/D변환기등이 있음. 

▷ Data rate; 일정 시간동안 이동하는 데이터의 양. 데이터 입출력시 일정시간에 얼마나 많은 양을 다룰 수 있는지 나타냄. 

▷ Digital TV; 종전의 TV방송이 아나로그이던 것을 제작, 전송, 수신등 전과정에서 디지털로 바꾸어 고선명 화질은 물론 다양한 부가써비스도 즐길 수 있는 multi-media방송 수신기. 화질과 음질의 획기적 향상은 물론 인터넷 검색이나 다양한 home networking에 의해 가정용기기를 조정할 수 있음. 우리나라는 2001년 9월부터 시험방송, 2002년 하반기부터 수도권을 중심으로 본방송에 들어감. 

▷ Display; 영상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해주는 장치. CRT, CPT가 주류이나 LCD(액정 display), PDP(plasma display), FED(field emission display)등이 개발되었음. 

▷ Dissolve; 비디오의 한 scene이 차츰 어두워지고 다음 씬은 차츰 밝아지면서 넘어가는 장면전환 효과. 

▷ Distributor(분배기); 한개의 영상 및 오디오신호를 여러개로 배분하는 장비. 하나의 신호가 여러 장비를 거치게되면 신호손실을 가져오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개발됨. 

▷ Dolly; 움직이는 촬영판. 삼각대가 부착된 한세트의 바퀴. crabbing과 tracking을 부드럽게 할 수 있음. 

▷ Dubbing; 편집과정의 일부로서 여러 가지 소리를 테이프에 복사하는 일. 

▷ DV; 여러 전자회사가 합동으로 제정한 가정용 디지털 비디오 format의 표준. 5:1로 압축이 이루어지나 화질이 VHS의 3배정도 우수하여 업무용으로까지 사용되고 있음. 

▷ DVCAM; DV방식의 전문가용 version. DV와 같이 5:1압축비율로 호환이 가능함. 

▷ DVD; 초기에는 Digital Video Disk라고 통용되었으나 여러가지 기능이 추가되면서 최근엔 가운데 V를 Versatile 로 써서 '디지털 다기능 디스크'로 불리고 있음. 
기존의 CD와 같은 크기에 4.75GB에이르는 저장능력을 가지고 있어 영화 한편을 기록할 수 있음. 또한 MPEG2로 기록하여 기존의 어느 매체보다 고화질이며 돌비디지털 5.1오디오등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음. 

▷ Filters; 디지털 편집시 특수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원본의 데이타를 바꾸는 도구. 

▷ FireWire; IEEE-1394에 대한 Apple Computer사의 상표 이름. 

▷ Frame; 영화나 TV의 움직이는 영상은 화면 여러장을 연속하여 뿌림으로써 자연스런 동영상이 되는 바, 이때 하나하나의 정지영상을 frame이라함. 
영화의 경우 초당 24 frame, NTSC TV나 비디오의 경우 30 frame을 기본으로 함. 

▷ Frame rate; 1초에 얼마나 많은 수의 frame을 다룰 것인지 나타내는 값. 즉 초당 전송frame수. 

▷ Frame size; 비디오나 animation 영상화면의 크기. 

▷ Frequency(주파수); 음이나 전파, 전기신호의 1초간 진동수. 단위는 Hz로 표기함. 

▷ GOP; Group of Pictures의 약자. MPEG으로 압축시 몇 개의 frame들로 GOP를 형성하여 데이타의 흐름이 만들어짐. 
1개의 GOP는 3개 타잎의 frame (I-frames, P-frames and B-frames)이 포함됨. 

▷ HD/SD TV; High Definition 과 Standard Definition 의 약자. 디지털 TV는 선명도에 따라 SD(표준)급과 HD(고선명)급으로 나뉘는 바 TV 주사선이 1080i(interlace 비월주사) 까지, 720p(progressive 이중주사) 까지를 HD화질, 그이하를 SD화질로 구분함. 종래의 525~625라인에 불과한 TV에 비하여 2~5배의 선명한 화면을 즐길 수 있음. 

▷ Hue; 빨강, 노랑과 같은 색의구분. 

▷ IEEE-1394; IEEE(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)에서 1995년 제정한 세계적 산업표준의 저가형 디지털 interface. 오락, 통신등 각종 장비를 컴퓨터에 연결해주는 multi-media interface. 
당초 Apple사에서 제안, 구현한 이름 그대로 Fire-Wire라고도 하며, Sony사는 i-Link라는 이름으로 씀. 

▷ Image; 기술적인 용어로서의 이미지는 화면위의 점(픽셀)의 집합을 뜻함. 이 경우 컴퓨터 모니터나 영상 software에서 보이는 픽셀로 구성된 디지털 사진을 표현하는 데 사용됨. 

▷ IMAX; wide screen 영화system인 70mm영화로서 film 한frame의 크기는 70×46mm임. 
IMAX는 eye의 발음인 I와 Maximum의 MAX를 합성하여 만든 이름. 

▷ Interface; 신호의 level이나 timing, 형식등이 다른 회로나 장치를 연결해주는 중간장치로서 HW 또는 SW규격의 총칭. 

▷ Iris (조리개); 겹쳐있는 얇은 금속조각으로 렌즈 앞에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여 노출을 결정하는 기능을 함. 

▷ Jog/shuttle; VCR의 테이프주행을 정밀하게 조정해주는 wheel. 편집시 유용함. 

▷ JPEG;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의 약자. 또한 동 그룹에서 마련한 디지털 영상의 압축 표준을 뜻함. 

▷ Kiosk; 일명 전자무인 안내대. 컴퓨터를 이용하여 그림, 문자, 음성으로 고객의 물음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. 건물안내, 전시장안내를 비롯하여 행정, 홍보 등에도 도입되고 있음. 

▷ LCD(Liquid Crystal Display 액정표시장치); 전류, 전계의 작용 또는 가열,냉각등에 의해 액정분자의 배열이나 상을 변화시켜 정보를 표시함. 밝은 곳에서 잘 안보이는 단점이 있으나 얇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음. 

▷ Luminance; Brightness (밝기) 

▷ M1V; Video data만 담긴 MPEG file. 

▷ Monopod(일각대); 접을 수 있는 다리가 한 개인 카메라 받침대. 좁은 장소나 혼잡한 곳에서 촬영시 유용함. 

▷ MOV; Apple사에서 개발한 동영상 압축형식으로 Quick Time으로 재생됨. 

▷ MPA; Audio data만 담긴 MPEG file. 

▷ MPEG(Motion Pictures Experts Group); 국제표준화기구(ISO) 산하의 동영상 전문가 그룹으로 지난 ‘91년 동영상 압축기술 표준으로 MPEG1을 제정하였으며 최근 MPEG2 외에 여러 가지 표준을 개발, 보강중에 있음. 

▷ MPG; Video 와 Audio data가 함께 담긴 MPEG file. 

▷ MPV; Video data 만 담긴 MPEG file. 

▷ Multi-media; 복합적인 매체란 뜻으로 TV, 영화와 같이 둘 이상의 미디어 즉 문자, 소리, 사진, 동영상 등이 복합적으로 통합전달되는 것을 말함. 

▷ Noise; 신호에 대한 간섭. 쉿소리 또는 윙윙소리가 나거나 화면에 입자가 보이거나 함. 

▷ Pixel; picture element의 약자로 화면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. 모니터를 통해 문자나 그림을 표시할 때 색상, 광도 등을 지정할 수 있는 작은 점으로 pixel의 수가 많을수록 정교해짐. 

▷ Quick Time; Apple사가 개발한 SW로 mov, avi와 같은 동영상이나 jpg등의 정지영상을 볼 수 있음. 

▷ Resolution; 한개 영상의 가로와 세로에 담긴 픽셀수. 높을수록 명료함. 

▷ RGB; 기본색인 Red, Green, Blue의 약자. 

▷ Steadicam; steady와 camera가 합성된 말. 손으로 들고 촬영할 때 카메라를 안정시켜 화상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안한 카메라 받침대. 

▷ S-VHS, S-VTR; S는 super를 말하며 일반 가정용 VHS나 VTR의 화질을 향상시킨 확장 format. 
당초 VHS는 TV방송화질을 담을 수 없었으므로 향상된 기술로 TV를 능가하는 화질을 실현하였으나 일반 VTR로는 재생이 안되므로 주의하여야 함. 

▷ S-video 단자; S는 separate의 앞글자로 영상신호중 휘도(Y)신호와 색(C)신호를 분리하여 전송하기위한 단자. 따라서 하나로 전송하는 composite단자에 비하여 화질이 우수함. 

▷ Timecode; 녹음, 녹화 또는 재생기의 테이프 주행시간을 표시하는 counter에 나타나는 숫자. 보통 시:분:초:frame으로 정확한 위치를 표시하여 주므로 편집시에 유용함. 

▷ Transition; 장면전환. 관객이 의식하지 않고 장면이 바뀔 수 있도록 해줌. 

▷ Video CD; MPEG1 규격을 이용한 동영상 CD. 

▷ VHS; Video Home System의 약자. JVC에서 가정용으로 개발하여 일반화된 아나로그 비디오 format. 1/2 inch폭의 테이프를 사용하여 녹화하거나 재생함. composite신호를 사용. 

▷ VOD; Video On Demand 의 약자. 시청자의 요구에 의해 언제든지 필요한 비디오 프로그램을 전송받는 써비스. 인터넷방송 등에서 이용하고 있으며, 앞으로 쌍방향 TV의 가장 유력한 써비스가 될 것임.

 

 

출처 : http://blog.daum.net/imsorry0/99